최근 식품의약품안전처는 누리소통망(SNS) 오픈채팅방을 통해 무허가 스테로이드제제와 성장호르몬제제를 판매한 A씨를 약사법 위반 혐의로 적발해 검찰에 송치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사건은 단순한 불법 판매가 아닌, 국민 건강에 치명적인 피해를 줄 수 있는 심각한 위법 행위라는 점에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SNS 오픈채팅방 통해 무허가 의약품 1억 4천만 원어치 유통
수사 결과 A씨는 헬스트레이너로 일하던 과거 경험을 바탕으로 해외 직구 사이트와 국내 무허가 제조업자를 통해 스테로이드를 확보한 뒤, 이를 오픈채팅방에서 판매해온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2023년 11월부터 2025년 4월까지 약 200명 이상의 구매자로부터 주문을 받아, 무허가 스테로이드와 성장호르몬제제를 수입하거나 국내에서 불법 제조된 제품을 택배로 배송했습니다. 판매 금액은 약 1억 1천만 원에 달했으며, 여기에 국내 허가 전문의약품인 간기능 개선제까지 불법으로 3천만 원 상당 판매한 것이 추가로 확인됐습니다.
스테로이드, ‘근육 강화’ 아닌 ‘건강 파괴’의 지름길
압수된 주요 제품들은 대부분 "단백동화스테로이드(Anabolic Steroid)"로 확인됐습니다. 이 성분은 단백질 생성을 촉진해 근육을 빠르게 늘려주는 효과가 있어 운동 애호가들 사이에서 무분별하게 사용되곤 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제품은 면역체계 파괴, 성기능 장애, 심장병, 간암 유발 등 심각한 부작용을 동반할 수 있어 의사의 처방 없이는 절대 복용해서는 안 되는 전문의약품입니다.
게다가 무허가 제품은 정상적인 제조환경이 아닌 곳에서 제조된 만큼, 세균 감염 등의 위험성도 높고, 성분 함량도 불명확해 더욱 위험합니다. 특히 자가 투여 시 부작용이 바로 나타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그 위험성은 배가됩니다.
불법 유통 경로까지 숨겨…“현금 거래 및 허위 발송인 사용”
A씨는 수사기관의 단속을 피하기 위해 주로 현금으로 거래하고, 택배 발송 시 허위 이름과 주소를 기재하는 치밀함까지 보였습니다. 이는 단순한 판매를 넘어, 조직적인 유통 구조와 범죄 은폐 시도로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수사 과정에서 추가로 국내에서 무허가 의약품을 제조·판매한 B씨 등 관련자들에 대한 추가 수사도 진행 중입니다. 불법 유통망이 단순 1인 범행이 아닌 다수의 공급자와 연계된 구조임이 확인되고 있는 셈입니다.
식약처 “사용하지 말고 즉시 폐기, 적극 제보 요청”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스테로이드나 성장호르몬제제 등 무허가 의약품은 절대로 사용하지 말고 즉시 폐기해야 하며, 관련 정보를 알고 있는 국민은 **적극적으로 제보해 달라”고 당부했습니다.
앞으로도 무허가 의약품의 수입·유통 행위에 대한 단속을 강화하고 엄정하게 처벌해, 국민 건강을 지키기 위한 감시와 조사를 계속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주요 압수품 정보 요약
제품명 | 검출 성분 및 함량 | 비고 |
TURINABOL | 메틸테스토스테론 60.2mg/g | 국내 허가 성분 아님 |
CLONIFENE CITRATE TABLETS | 클로미펜시트르산염 166mg/g | 허가의약품 함량(250mg/g)보다 낮음 |
마스 | 테스토스테론 17-프로피오네이트 72.5mg/g | 국내 미허가 성분 |
프리모 | 테스토스테론 17-프로피오네이트 61.7mg/g | 국내 미허가 성분 |
불법 의약품, 작은 유혹이 생명까지 위협할 수 있습니다
운동 효과나 외모 개선을 위한 목적으로 무허가 스테로이드에 손을 대는 것은 절대 현명한 선택이 아닙니다.
건강은 되돌릴 수 없는 자산입니다.
잠깐의 효과를 위해 평생의 건강을 잃을 수도 있다는 사실, 꼭 기억해 주세요.
* 본 정보는 식품의약품안전처의 보도자료(25.07.14)를 기반으로 작성하였습니다.
'건강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마철 식중독, 이 시기 반드시 지켜야 할 주의사항 (0) | 2025.07.17 |
---|---|
💥여름철 다이어트, 식욕억제제 오남용? 이 정보 몰랐다간 큰일 납니다! (1) | 2025.07.16 |
벌 쏘임 예방법, 제대로 알고 있나요? 야외활동 전에 꼭 알아야 할 생명 지식! (1) | 2025.07.13 |
살모넬라 식중독, 여름철 ‘손보구가세’로 예방하세요! (0) | 2025.07.13 |
모기 알레르기, 그냥 넘기면 위험! 증상부터 대처법까지 꼭 알아야 할 정보 (1) | 2025.07.12 |